과학기술기반 미래연구사업 Ⅺ (2019) | |||
이름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작성일 : 2020.04.01 | 조회수 : 654 |
■ 연구목적
○ 과학기술 기반 미래연구사업의 목적은 기술, 산업 등에 대한 글로벌 트렌드 분석과 미래연구 방법론 및 연구 네트워크 강화를 통해 한국이 직면하게 될 미래를 전망하고 중장기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
○ 11차년도 주제는 과학기술과 사회의 상호작용, 과학기술에 대한 정책 효과 전망
- 과학기술 미래전망: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에 대한 과거 전망의 오류 분석 및 미래 유망성을 객관적으로 전망
- 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과학기술혁신 수요 전망: 미국 소비자의 시간 사용 및 지출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소비자의 생활에 대해 예측 아니라 상상
- 모델링 기반 미래예측: 과학기술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
■ 주요내용
○ 과학기술 미래전망
-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 등 과학기술의 미래를 과도하게 낙관적으로 또는 비관적으로 전망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기술 발전 속도에 대한 지나친 기대감 형성, 기술에 대한 이해관계 반영,
기술의 부작용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 미반영, 전망 방법의 한계 및 관련 데이터의 부족 등
-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 모두 장기적으로는 전 분야에 확산되어 범용 기술화될 잠재력을 갖고 있으나, 중단기에는 식품(합성생물학), 디스플레이(나노소재), 전기차(수소경제),
일부 분야를 중심으로 활용될 전망
○ 소비 데이터를 활용한 미래 과학기술혁신 수요 전망
- 수면과 개인케어, 휴식·레저활동에 대한 시간 투입은 늘어나고, 식사 및 업무활동에 소비하는 시간을 줄어들고 있음.
헬스케어, 교육, 가사운영 등에 대한 지출액은 늘어나고, 자동차 구매나 파이낸싱, 유류비 등에 대한 지출액은 감소
- 모빌리티, 쇼핑과 미디어, 스마트 가전, 헬스케어 등에 대해 미래 과학기술혁신 수요가 크게 달라질 전망
○ 모델링 기반 미래예측: 과학기술의 일자리 영향
- 의사결정 주체의 연구개발 유형, 경쟁국가의 유무 등을 적절히 모형에 반영한다면 그 영향을 어느 정도 전망할 수 있음
- 다양한 정책 변수를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설계와 활용이 향후에도 필요
○ 사업 측면에서는 지식기반 구축·공유, 미래지향적 문화 확산, 미래연구 네트워크 강화 등을 연구와의 연계성을 강화하면서 지속적으로 추진 중
■ 정책대안
○ 합성생물학, 나노소재, 수소경제 등 과학기술의 확산을 위해 기술개발 지원, 테스트베드 등 관련 인프라 제공, 정부 구매 확대, 사회문제 해결형 정책설계, 부작용/우려 해결,
안전기준 등 제도 정비, 관련 국가와의 국제협력 강화, 객관적인 미래 전망 수행 및 공유, 미래전망 방법론 개선, 데이터 확보/제공 등이 필요
○ 미래 과학기술 수요 전망을 위해 특허/논문 등 공급 데이터 외에도 시간/지출 등 소비 데이터를 활용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해져야 함
○ 인공지능이 직업 유형과 특성별로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국내 시장 관점에서 자동화 기술 도입을 통한 일자리 대체 효과와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 확보 실패로 인한 일자리 감소 효과,
정부의 R&D 정책과 고용지원 정책의 일자리 창출 효과 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
첨부파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