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7 |
데이터 플랫폼 정책 진단과 생태계 구축을 위한 고도화 전략 |
- 디지털 전환기 시대를 맞아 국내에서 수행되는 다수의 국내 디지털 플랫폼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고도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
- [정부] 공공 데이터 플랫폼 운영실태 조사 및 분석
- [개인] 마이데이터(MyData) 정책 조사 및 분석
- [기업] 데이터 바우처 등의 지원정책 조사 및 분석
|
미래혁신전략연구본부
|
정일영, 오윤환 |
|
2023-06 |
코리아 R&D 패러독스에 관한 실증적 접근 |
- 코리아 R&D 패러독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진단을 통해 근거기반 과학기술정책의 수립 및 집행 필요
- R&D 패러독스 관점의 체계적인 진단 통해 STI시스템 내의 구체적인 약점 파악 및 지속적으로 개선/심화 여부 확인 필요
|
R&D혁신연구단
|
장필성 |
|
2023-05 |
신산업 과학기술인력의 수요 변화 모니터링 및 민간 중심 수급 자율화를 위한 기반 구축 사업 |
- 국가 차원에서 신기술 산업 기술인력 수요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술인력 수급 미스매치 현상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 관련 데이터 집적과 실제 분석을 바탕으로 중장기 과학기술인력 정책방향 및 기술분야별 전략 포트폴리오 제언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중장기 과학기술인력 육성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한편 노동시장 미스매치 해소 성과까지 파악하여 피드백할 수 있는 체제 구축
|
과학기술인재정책연구센터
|
홍성민 |
|
2023-04 |
‘도전과 혁신 중심’ 국가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체계 구축사업 |
- ‘도전과 혁신’의 관점에서 과학기술 분야 국정과제 이행상황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신규 정책 수립 및 개선에 활용하는 정책의 환류체계 구축
- ‘도전과 혁신 중심’ 국가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체계를 설계하여 현행 국가과학기술정책 이행점검체계 고도화 및 ‘도전과 혁신’ 중심 전환을 위한 정책적 대안 제시
|
R&D혁신연구단
|
박기범 |
|
2023-03 |
글로벌 기술-통상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혁신정책 대응 전략 |
- 디지털 기술과 통상의 주요 이슈들에 대한 분석과 대응방안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며, 특히 인도-태평양 지역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술과 통상 관련 규범, 표준 등 논의가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
- 인도-태평양 지역에 기반한 새로운 통상질서 구축과 디지털 통상 규범의 도입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방안의 도출이 필요함
|
글로벌혁신전략연구본부
|
박환일 |
|
2023-02 |
기술규제 개혁을 위한 의제설정 연구사업 |
- 4차 산업혁명 대응과 혁신성장 추진에 있어 기술·산업 분야 규제개혁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선도적 의제 발굴 및 대응방안 마련과 심도 있는 정책연구가 필요
- 기술규제 관련 기반이 되는 표준 및 인증 분야의 주요 기술규제 쟁점 발굴 및 유형별 쟁점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제시 필요
- 기술패권 경쟁, 기후규제 강화 등 높아지는 선진국 기술규제 장벽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 표준·인증 시스템의 근본적 개선 필요
|
혁신법제도연구단
|
이광호 |
|
2023-01 |
기술혁신 성과지표 분석 및 DB구축사업 |
- 기업의 혁신활동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연구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를 수집, DB화하여 서비스하고 DB를 분석해 한국 기업의 혁신성과 관련 기초자료를 생산 및 제공할 필요가 증대
- 한국의 과학기술혁신을 위해서는 양적 투자 확대를 넘어 질적 개선 및 과정 혁신의 요구가 증가하고, 국가의 혁신활동을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여 혁신정책 수립을 위한 기반 제공 필요성이 높아짐
|
R&D혁신연구단
|
진승화, 이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