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 증거기반 정책연구를 위한 STI 통합데이터 구축ㆍ관리ㆍ활용 방안 모색 및 시범 심층분석을 통해 기업 R&D 및 혁신정책 관련 정책적 시사점 도출
- 국내외 STI 관련 데이터 현황 파악, 한계 및 애로사항 등 진단을 통해 원내외 데이터 간의 연계 통합 가능성과 해결방안 모색
주요내용
○ 국내외 STI 데이터 현황 및 통합데이터 플랫폼 사례 분석을 통해, 원내·외 STI 관련 데이터 연계 및 통합 DB 구축 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이슈와 애로사항 등을 검토하고 해결방안을 도출
- 미국, 독일, 영국 사례 및 국내 기업차원 주요 국가승인통계 사례 분석
○ STI 통합데이터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구축ㆍ관리 및 활용성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
- 수요조사 실시, 전문가 세미나ㆍ간담회 및 STI 데이터 포럼 기획ㆍ개최ㆍ운영
○ STI 통합데이터를 활용한 시범적 증거기반 심층분석 수행
- 정부 R&D 지원이 기업혁신에 미친 영향, 외국인투자기업의 혁신 특성 등 분석
정책대안
○ 정책적·학술적 유용성이 높은 STI 통합데이터 구축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의 체계적·전략적 접근 필요
- STI 데이터의 통합적 구축 및 활용 촉진을 위한 법제도적 지원과 보완 필요
○ STI 통합데이터의 범위 확대 필요
- 관련 혁신주체 및 주체 간 상호작용 등에 관한 STI 통합데이터로 확장하는 연구 추진
○ STI 통합데이터의 신뢰성과 일관성 확보 노력 필요
- STI 통합DB 구축 시 일관되고 합리적인 데이터 정제 절차와 기준 마련
○ STI 데이터들의 공유ㆍ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인프라 및 인센티브 시스템 구축 필요
- 파편화된 STI 데이터들이 상호 연계ㆍ통합할 수 있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며,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 자발적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블록체인 및 영지식증명(zero-knowledge proof) 기술 도입 제안
○ STI 통합데이터의 구축 및 활용의 실익 극대화를 위한 연구회 차원의 노력 필요
- 연구기관 간 협의체 운영, 통합데이터 관리 활용 규정 마련, 관련 전담인력ㆍ조직 구축, 사업예산 확보 등을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통합데이터 구축·관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