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기정책연(STEPI)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기정책연(STEPI)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기정책연(STEPI)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정책연구

연구보고서 2022년 한국기업혁신조사 심층분석

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증거기반 혁신정책을 위한 심층적 분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혁신조사 개선을 위한 심층분석과 정책 이슈를 위한 심층분석을 수행


주요내용

○ (2장) 혁신 관련 연구 서지분석 결과, 혁신의 중요성에 비해 혁신조사 결과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객관적 측정법 보완 필요

○ (3장) 혁신조사는 표본조사 및 자계식 조사의 특성으로 인해 결과 변동성 존재하고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조사 결과의 도출을 위한 패널화/표본확대 고려 필요

○ (4장) 혁신 연구 이슈 분석을 통하여, 현 혁신조사가 포함하지 못하는 사각 영역에 대해 탐색하였으며, IT등 기술이슈, 조직이론 등 추가 문항의 기획 조사 필요성 확인됨

○ (5장) 표본조사 및 자계식 조사 방식으로 인한 혁신조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혁신조사 외 정보를 활용한 혁신예측모형의 지속적 개발 및 활용 모색 필요성 확인됨

○ (6장) 한국기업혁신조사를 통해 국내 전반적인 기업벤처링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업벤처링이 상품혁신에 기여하는 영향 경로를 파악함

○ (7장) 혁신성과(상품혁신성과) 창출은 한계기업 탈출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계기업 탈출에 간접지원방식(인증지원)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됨


정책대안

○ 민간주도 혁신이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혁신 현상을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하여, 혁신조사의 및 혁신 측정의 개선을 개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

 - (객관성 개선) 객관적 측정방법에 대한 보완 노력이 필요하며, 주요 해외 연구들의 사례와 같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방법론 등을 활용한 보완적 방법의 개발을 병행하여야 함

 - (안정성 개선) 시계열 변동성 비교 등을 통해 국내 혁신조사결과의 변동성이 높은 편임을 확인하였으며, 조사 결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패널화/표본확대 노력 필요

 - (혁신기업 중점 조사) 혁신조사 내 비혁신기업 정보가 다수이며, 혁신기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며, 혁신활동 주요 수행기업군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 조사 필요 

○ 기업벤처링의 혁신성과 기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함을 확인

○ 한계기업탈출을 위하여 제품혁신 창출 지원 및 인증제도 활용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됨

목차 탭컨텐츠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