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증거기반 혁신정책을 위한 심층적 분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혁신조사 개선을 위한 심층분석과 정책 이슈를 위한 심층분석을 수행
주요내용
○ (2장) 혁신 관련 연구 서지분석 결과, 혁신의 중요성에 비해 혁신조사 결과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객관적 측정법 보완 필요
○ (3장) 혁신조사는 표본조사 및 자계식 조사의 특성으로 인해 결과 변동성 존재하고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조사 결과의 도출을 위한 패널화/표본확대 고려 필요
○ (4장) 혁신 연구 이슈 분석을 통하여, 현 혁신조사가 포함하지 못하는 사각 영역에 대해 탐색하였으며, IT등 기술이슈, 조직이론 등 추가 문항의 기획 조사 필요성 확인됨
○ (5장) 표본조사 및 자계식 조사 방식으로 인한 혁신조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혁신조사 외 정보를 활용한 혁신예측모형의 지속적 개발 및 활용 모색 필요성 확인됨
○ (6장) 한국기업혁신조사를 통해 국내 전반적인 기업벤처링 현황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업벤처링이 상품혁신에 기여하는 영향 경로를 파악함
○ (7장) 혁신성과(상품혁신성과) 창출은 한계기업 탈출과 연관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계기업 탈출에 간접지원방식(인증지원)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됨
정책대안
○ 민간주도 혁신이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혁신 현상을 보다 잘 파악하기 위하여, 혁신조사의 및 혁신 측정의 개선을 개혁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
- (객관성 개선) 객관적 측정방법에 대한 보완 노력이 필요하며, 주요 해외 연구들의 사례와 같이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방법론 등을 활용한 보완적 방법의 개발을 병행하여야 함
- (안정성 개선) 시계열 변동성 비교 등을 통해 국내 혁신조사결과의 변동성이 높은 편임을 확인하였으며, 조사 결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패널화/표본확대 노력 필요
- (혁신기업 중점 조사) 혁신조사 내 비혁신기업 정보가 다수이며, 혁신기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며, 혁신활동 주요 수행기업군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 조사 필요
○ 기업벤처링의 혁신성과 기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함을 확인
○ 한계기업탈출을 위하여 제품혁신 창출 지원 및 인증제도 활용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