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중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정책은 ‘13차 개년 계획’, ‘인터넷 +’, ‘중국제조 2025’, ‘대중창업, 만인창신’ 등이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주요 영역 중 중국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모바일·온라인 결제, 공유경제, 인공지능, 전기차·자율주행차, 로봇·IoT 분야는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중국의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는 BAT(Baidu, Alibaba, Tencet)가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 중국 내 압도적인 플랫폼 지배력을 통해 서비스 시장을 주도 ▲ 강력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막강한 데이터 역량을 구축 ▲ 창출한 수익을 바탕으로 스타트업 투자와 육성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 중국은 BAT와 인터넷, 인공지능 분야 중심의 소프트웨어·서비스 분야의 혁신에 성공할 것으로 보이며, 기존 제조업의 고도화에는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중국의 디지털 전환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중국에서 인터넷, 모바일, O2O 위주의 디지털 혁신과 인공지능을 핵심 동력으로 하는 미국형 4차 산업혁명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됨
▶ 반면 자동차, 로봇과 같이 기존의 제조업이 고도화되는 방식의 독일형 4차 산업혁명은 중국에서 성공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