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전체메뉴 닫힘

원문다운로드 자료 활용 안내

모달팝업닫기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과기정책연(STEPI))연구자료 이용에 항상 감사드립니다.

이용하시는 자료는 연구기관의 소중한 연구성과물로 저작권 및 이용조건 등을 준수하여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다운로드를 위해 하단의 자료이용 동의서 및 사용목적 등에 응답 부탁드립니다.
답변하신 내용은 과기정책연(STEPI) 연구성과물 활용 현황 및 서비스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감사합니다.

  • 이용조건 동의
  • 자료 이용 시, 과기정책연(STEPI)에서 제공하는 저작물을 이용하였음을 명시할 것을 동의합니다.
  • 본 저작물을 "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것을 동의합니다.
※ 무단으로 연구성과물을 사용하였거나 과기정책연(STEPI)에서 제시한 이용조건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관련기관에 처벌을 받을 수 있으며, 즉시 저작물의 이용허락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 자료사용목적
  • 직업군 선택

동향과 이슈

동향과 이슈 이공계 신진연구자 경력 개발과 경로 다변화 관련 해외 동향

  • 권호
    44
    저자
    성경모 저자별 발간물 찾기
  • 발간일
    2017-11-16
    조회수
    62,726
  • 페이지
    17
    다운수
    4,545
  • 주제분류
    과학기술혁신정책 > 국가혁신체제(NIS)
    과학기술혁신정책 > 과학기술인력정책
    과학기술혁신정책 > 해외과학기술정책동향
    동일 주제 발간물 찾기
  • 키워드
    이공계,신진연구자,박사후과정연구원,포닥,경력개발,NIH,CIFRE
    원문보기
    Trend_n_Issues_44.pdf 바로보기
요약 탭컨텐츠

미국의 대형 연구 프로젝트 중심 연구 시스템은 박사후과정연구원과 같은 신진연구 인력 수를 크게 증가 시켰으나,

1990년대 들어 연구 시장의 환경 악화로 정부 지원 예산이 감소하면서 정규 연구직 수는 신진연구인력들의 수요만큼

늘어나지 않고 있다. 학문자본주의, 대학 간 경쟁, 구조개혁 위기 등 여러 요인으로 국내대학 및 출연(연) 내 비정규직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박사후과정연구원에 대한 전통적인 의미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박사학위취득자의 고용 이슈로부터 경력 경로 다변화 이슈로 바뀌게 된 배경에는 박사학위취득자 노동 시장의 변화와

대학교수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에 있다. 또한 지식기반 사회에서는 한 사회가 과학기술의 다양성을 필요로 하는 만큼

주어진 범위 안에서 과학기술 인력들이 교육·훈련 받기 때문에 한국도 과학기술 인력의 교육·훈련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확대하는 방향으로의 접근이 요구된다.

 

이 글에는 미국과 프랑스를 대상으로 신진연구자 지원제도 모범 사례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박사후과정연구원 대상 미국 NIH 지원 프로그램 특징

  - 박사후과정연구원의 경력에 따라 단계적으로 구성

  - 경력 경로 다변화 목적으로 프로그램 구성

  - 정량적인 연구 위해 생물학, 의학 이외의 이공계 전공자의 보건 분야 연구로의 유입 유도 목적으로 프로그램 구성

  - 신진연구자의 국제적 영향력 강화 위한 지원도 포함

 

* 프랑스 CIFRE 제도의 주요 특징

  - CIFRE 제도를 통해 예비 박사학위 취득자들은 안정적인 재정 지원을 받으며 논문을 쓸 수 있으며,

    CIFRE를 통한 박사학위 취득자 비중은 모든 과학 분야를 통틀어서 90% 이상임

  - 기업의 연구 분야 및 연구 목적과 예비 박사학위 취득자(박사학위 준비자)들의 전공, 관심분야 및 역량을

    ANRT가 매칭하며 예비 박사학위 취득자-대학(연구실)-기업이 각각 얻는 이점이 있음

  - 대학 또는 연구기관 그리고 기업 간 협업연구에 더 많은 연구비를 지원하는 연구비 조달방식과 특별히

    중소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세제혜택과 같은 인센티브도 잘 마련해놓고 있음

  - 2013~2014년 1,160명의 박사학위 취득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CIFRE 박사 학위 취득자들 중 85%가

    CIFRE가 그들의 취업에 큰 도약이 되었다고 답함.

    CIFRE 종료 후 1/3의 박사학위 취득자들이 CIFRE 파트너 기업에 남으며, 70%가 3개월 안에 취업을 하고 70%가

    CIFRE 종료 전에 취업을 함

  - 2015년 체결된 1,383개의 CIFRE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이공계 대학원생들의 다양한 경력경로의 진출 현황을 알 수

    있음 

 

또한, 국내 신진연구자(박사후과정연구원) 제도에 주는 시사점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법적지위 보장 및 연구 독립성 확보를 통한 박사후과정연구원의 전문직 지위 인정
▶ 전문직 진입을 위한 민간기업-대학-정부·출연(연)의 공동노력 및 지원금 변화를 통한 박사후과정연구원의 학계 외

   경력경로 발굴

 

공공누리 마크 제4유형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