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과학기술혁신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 마련을 위한 의제 발굴 및 대안 제시
○ 현안대응형 TFT 운영을 통한 적시적 정책연구수요 대응
[주요내용]
□ 과학기술혁신 시스템 문제점 및 원인 진단, 주요 정책과제 도출
○ 디지털 전환시대 기술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도전과제 도출
○ 국정운영 기조 변화에 따른 과학기술정책 및 혁신전략 변화과제 도출
□ 과학기술정책 핵심 의제별 진단 및 대안 제시
○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
- 문재인정부의 혁신성장 전략 방향과 추진경과 분석
- 혁신성장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의제 제안
○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과제
-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인공지능, 블록체인, 정밀의료)의 현황 및 특성 파악
- “선(先)-기술개발, 후(後)-규제/정책” 패러다임의 한계에 따른 대안 제시
○ 과학기술혁신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과제
- 국가과학기술혁신체제 구축 노력 및 성과 분석
- 국가과학기술혁신체제 구조 고도화에 있어 개선효과가 큰 세 가지 세부 쟁점 선별, 논의
○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과제
- 서비스 혁신 및 서비스업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대안 제시
- 신제조업 경쟁력 강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대안 제시
○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과제
- 일본의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과학기술 정책 사례 분석
- 한국 과학기술정책 기조 전환을 위한 대안 제시
○ 우주항공 강국 도약을 위한 과제
- 한국의 우주항공 기술 발전 과정 및 국내외 기술?산업 동향 분석
- 우주항공 기술강국 도약을 위한 정책 대안 제시
[정책대안]
○ (혁신성장전략) 혁신성장 거버넌스 조직 체계 개선, 기술규제 거버넌스 강화, 신기술의 사회적 수용성 확보를 위한 리빙랩 도입, 과학기술 지방분권화 추진 및 인공지능 기반 교육혁신 모델 개발
○ (4차 산업혁명 패러다임 전환과 과학기술정책 의제) 민첩한 거버넌스 관점의 과학기술정책 설계 필요, 정책랩 도입으로 기술과 정책의 공동설계 개념 적용
○ (국가과학기술혁신체제의 고도화) 정부납부기술료 제도 개선, 공공?민간 연구기관 공정경쟁 및 협력체제 구축, 국가연구개발사업 도전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 (신성장동력 창출) 서비스 R&D 투자강화 및 세제혜택 확대, 신기술의 제조업 접목을 위한 디지털전환 기술에 대한 정부 주도 연구개발 투자 필요
○ (안전사회 구축) 안전을 고려한 연구개발 정책 수립, 안전지수 조사 실시, 슈퍼컴퓨터 기반의 재난관리로 재난 피해 최소화
○ (우주항공) 우주항공 핵심 원천기술 개발, 글로벌 시장 개척 및 신산업 육성, 우주항공 융합기술산업 생태계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