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글로벌 주요 국가의 서비스 R&D 투자와 정책을 분석하고 서비스산업 혁신을 위한 정책 과제를 제시
- 글로벌 주요 국가의 서비스 R&D 투자를 분석하기 위해 OECD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사⋅분석
- 글로벌 주요 국가의 서비스 R&D 투자 분석과정을 통해서 주요 국가별 서비스 R&D 투자 현황을 비교하고 특징을 비교분석
- 글로벌 주요 국가별로 주요 서비스 R&D 정책을 조사
- 서비스 R&D 투자 방향과 서비스 산업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
[주요내용]
○ 글로벌 서비스 R&D 투자 분석
- 2015년 기준 OECD 국가 34개국 중, 한국을 제외한 OECD국가에서 민간의 서비스 R&D 투자 비중은 44.7%였음. 이는 1998년 22.6%에 비해 2배가량 증가한 수치
- 이에 반해, 한국 민간 서비스 R&D 투자 비중은 ‘98년 약 12%대에서(’98 11.96%, ‘01 12.69%)에서 ’15년 8%로 약 1/3이 감소
○ 글로벌 서비스 R&D 투자 유형 및 특징
- OECD 국가 중 서비스 R&D 투자 비중에 따라 4개 유형으로 분류
- OECD 주요 국가를 지역에 따라 5개 유형으로 분류
- 제조업 중심 국가 중 독일, 일본은 서비스 R&D 투자가 증가하나, 한국만 감소
○ 글로벌 서비스 R&D 정책
- 영국은 산업전략을 통해 차세대 서비스사업 등을 신설
- 독일은 서비스 R&D 투자와 인프라 미흡을 지적하고, 스마트 서비스 월드 사업을 추진했으며, 이후 스마트 서비스 월드 II 사업을 시작
- 일본은 미래투자전략을 통해 금융, 중소 서비스, 관광 등을 집중 육성하고, 서비스산업 생산성과 핵심 성과지표를 설정해, 2020년까지 서비스산업 생산성 2.0% 달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정책대안]
○ 서비스산업 혁신방안
- 글로벌 서비스 R&D 투자 비율과 격차를 줄이기 위한 서비스 R&D 투자확대
- 서비스 R&D 투자확대 모델과 분류체계 개편
-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제정
- 서비스 R&D 기반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