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탭컨텐츠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재구성을 지향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가능한 시스템으로의 전환(sustainability transition) 관점에서 산업혁신정책, 지역혁신정책, 공공연구개발정책, 시민사회 정책 등 혁신정책의 주요 요소들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4차년도 과제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과제를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공공연구개발 시스템 전환의 맹아를 정리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논의(1부). 이와 함께 사회문제 해결형 R&D와 사회혁신에 대한 현안 이슈를 분석(2부). 3부에서는 좌담회를 통해 사회혁신과 리빙랩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 청취
[주요내용]
□ (제1부: 정책연구)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서 본 공공연구기관의 발전 방안
○ 출연(연)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사례분석
○ 대학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사례분석
○ 출연(연)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의 현황과 과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대학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 현황과 과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정책 방향
□ (제2부: 현안연구)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 사회혁신 현안 연구
○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을 보는 세 개의 관점
○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와 혁신의 동향과 전망
○ 초학제적 연구의 특성
○ 전환적 사회혁신론과 한국의 사회혁신
□ (제3부: 좌담회) 사회혁신과 리빙랩 좌담회
○ 대학혁신과 리빙랩
○ 사회적 경제와 지역혁신
○ 국민생활연구의 현황과 과제
○ 지역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의 과제
○ 현장 연구자가 본 리빙랩
○ 리빙랩 플랫폼 좌담회
○ 지역혁신과 리빙랩 코디네이터
○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과학기술계획
[정책대안]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연구개발 비전 형성과 거버넌스 구축
○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중간조직인 ‘혁신 플랫폼’ 구축과 참여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연구개발 지원 인프라 구축
○ 다양한 방식의 사회적 가치 창출형 공공연구개발 활성화
○ 사회적 가치지향 공공연구조직과 네트워크 형성